조림·숲가꾸기·목재수확 등 산림경영 정보 41종 통합 관리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위한 데이터 품질 강화

산림청이 산림경영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산림경영이음' 시스템을 17일부터 정식 운영한다. 이는 기존에 분산 관리되던 산림 관련 정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효율적인 산림자원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조치이다.
새롭게 운영되는 시스템은 조림, 숲가꾸기, 목재수확, 임도, 사방 등 산림경영 정보 12종과 도시숲 현황, 숲길 관리 등 산림조사 29종의 정보를 포괄적으로 관리한다. 특히 산림경영활동에 대한 실시간 조회 기능을 제공하여 신속한 정보 접근이 가능하다.
산림청은 이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품질 점검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이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자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선미 산림청 산림디지털담당관은 "산림경영이음 시스템을 통해 산림탄소 통계 산정을 위한 중요 데이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며 "이를 통해 산림자원의 체계적 관리와 산림경영의 생산성 향상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산림경영이음 안내문 ©산림청
#산림경영이음 #산림자원관리 #온실가스감축
기자의 견해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우리나라 산림자원 관리가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의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윤옥 기자(aatto.co.kr) |
산림청이 산림경영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산림경영이음' 시스템을 17일부터 정식 운영한다. 이는 기존에 분산 관리되던 산림 관련 정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효율적인 산림자원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조치이다.
새롭게 운영되는 시스템은 조림, 숲가꾸기, 목재수확, 임도, 사방 등 산림경영 정보 12종과 도시숲 현황, 숲길 관리 등 산림조사 29종의 정보를 포괄적으로 관리한다. 특히 산림경영활동에 대한 실시간 조회 기능을 제공하여 신속한 정보 접근이 가능하다.
산림청은 이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강화를 위해 품질 점검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이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자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선미 산림청 산림디지털담당관은 "산림경영이음 시스템을 통해 산림탄소 통계 산정을 위한 중요 데이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며 "이를 통해 산림자원의 체계적 관리와 산림경영의 생산성 향상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산림경영이음 안내문 ©산림청
#산림경영이음 #산림자원관리 #온실가스감축
기자의 견해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우리나라 산림자원 관리가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의 역할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윤옥 기자(aatt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