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과 발전]난다 (NANDA)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② 영역1.건강 증진, 영역2.영양

dxplanner
2024-12-29
조회수 1330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Nursing Diagnoses Classification 2024-2026


영역 1. 건강 증진 (Health promotion)

건강 증진 영역은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과 안녕을 향상시키고 실현하기 위한 행동과 인식에 초점을 맞춘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건강한 생활방식의 채택과 유지, 질병 예방, 그리고 전반적인 웰빙 증진을 위한 간호진단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건강 증진 영역은 '건강 인식'과 '건강 관리'라는 두 개의 과(Clas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건강 인식 과는 여가 활동 참여, 좌식 행동, 에너지 균형과 같은 건강과 정상적 기능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진단들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진단들은 개인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건강 관리 과는 더 광범위한 영역을 다루며, 건강과 안녕을 유지하고 통제하는 행동 양식에 초점을 맞춥니다. 여기에는 자기 관리, 특정 증상 관리, 체중 관리, 그리고 전반적인 건강 유지 행동과 관련된 진단들이 포함됩니다. 특히 이 과는 개인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강조하며, 건강 관리에 있어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합니다.


이 영역의 간호진단들은 예방적 관점을 강조합니다. 많은 진단들이 '위험'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잠재적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며, '준비' 상태를 평가하는 진단들은 건강 증진을 위한 개인의 동기와 능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생애주기별 특성을 반영하여 각 발달 단계에 적합한 건강 관리 방안을 제시합니다.


임상에서 이 영역의 간호진단들은 건강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하며,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변화를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진단들을 통해 간호사들은 대상자의 건강 증진 능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계획할 수 있습니다.



과 1. 건강 인식 (Health awareness)


번호

간호진단명(한글)

간호진단명(영문)

1.1.1

여가 활동 참여 감소

Decreased diversional activity engagement

1.1.2

여가 활동 참여 감소의 위험

Risk for decreased diversional activity engagement

1.1.3

지나친 좌식 행동

Excessive sedentary behaviors

1.1.4

지나친 좌식 행동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sedentary behaviors

1.1.5

에너지장 불균형

Imbalanced energy field


과 2. 건강 관리 (Health management)


번호

간호진단명(한글)

간호진단명(영문)

1.2.1

비효과적 건강 자기 관리

Ineffective health self-management

1.2.2

비효과적 건강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health self-management

1.2.3

건강 자기 관리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self-management

1.2.4

비효과적 가족 건강 관리

Ineffective family health management

1.2.5

비효과적 가족 건강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family health management

1.2.6

비효과적 지역사회 건강 관리

Ineffective community health management

1.2.7

비효과적 지역사회 건강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community health management

1.2.8

비효과적 혈당 패턴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blood glucose pattern self-management

1.2.9

비효과적 안구 건조 자기 관리

Ineffective dry eye self-management

1.2.10

비효과적 구강 건조 자기 관리

Ineffective dry mouth self-management

1.2.11

비효과적 구강 건조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dry mouth self-management

1.2.12

비효과적 피로 자기 관리

Ineffective fatigue self-management

1.2.13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1.2.14

비효과적 림프부종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lymphedema self-management

1.2.15

비효과적 메스꺼움 자기 관리

Ineffective nausea self-management

1.2.16

비효과적 통증 자기 관리

Ineffective pain self-management

1.2.17

체중 자기 관리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weight self-management

1.2.18

비효과적 과체중 자기 관리

Ineffective overweight self-management

1.2.19

비효과적 과체중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overweight self-management

1.2.20

비효과적 저체중 자기 관리

Ineffective underweight self-management

1.2.21

비효과적 저체중 자기 관리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underweight self-management

1.2.22

비효과적 건강 유지 행동

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1.2.23

비효과적 건강 유지 행동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1.2.24

건강 유지 행동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maintenance behaviors

1.2.25

가정 유지 행동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ome maintenance behaviors

1.2.26

운동 참여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exercise engagement

1.2.27

건강 문해력 부족

Inadequate health literacy

1.2.28

건강 문해력 부족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health literacy

1.2.29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 literacy

1.2.30

건강한 노화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healthy aging

1.2.31

노인 허약 증후군

Elder frailty syndrome

1.2.32

노인 허약 증후군의 위험

Risk for elder frailty syndrome




영역 2. 영양 (Nutrition)

영양 영역은 음식, 영양소, 수분의 섭취, 소화, 흡수, 대사와 수분 전해질 균형과 관련된 간호진단들을 포함하고 있는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영양 과정의 모든 단계를 포괄적으로 다루며, 인간의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양 영역은 '섭취', '소화', '흡수', '대사', '수화'의 다섯 개 과(Clas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섭취' 과는 영양 섭취의 적절성, 모유 수유, 섭취 행동 패턴 등과 관련된 진단들을 포함합니다. 특히 이 과는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의 발달 단계별 영양 섭취 문제와 수유 관련 문제들을 세분화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소화'와 '흡수' 과는 현재 특정 간호진단을 포함하고 있지 않지만, 영양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독립적인 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관련 진단들이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대사' 과는 현재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과 관련된 진단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생아 시기의 특수한 대사적 요구와 위험을 반영합니다. '수화' 과는 체액과 전해질 균형에 관련된 진단들을 포함하며, 체액량의 과다나 부족과 같은 문제들을 다룹니다.


이 영역의 간호진단들은 예방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을 모두 고려합니다. '위험' 진단들은 잠재적인 영양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며, '향상을 위한 준비' 상태를 평가하는 진단들은 최적의 영양 상태를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잠재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임상에서 이러한 진단들은 영양 상태 평가, 영양 중재 계획 수립, 그리고 영양 관련 교육의 기초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연령대와 건강 상태에 있는 대상자들의 특수한 영양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전반적인 건강 증진과 질병 회복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과 1. 섭취 (Ingestion)


번호

간호진단명(한글)

간호진단명(영문)

2.1.1

영양 불충분

Inadequate nutritional intake

2.1.2

영양 불충분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nutritional intake

2.1.3

영양 섭취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nutritional intake

2.1.4

단백질 에너지 영양 섭취 불충분

Inadequate protein energy nutritional intake

2.1.5

단백질 에너지 영양 섭취 불충분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protein energy nutritional intake

2.1.6

비효과적 모유 수유

Ineffective chestfeeding

2.1.7

비효과적 모유 수유의 위험

Risk for ineffective chestfeeding

2.1.8

독점적인 모유 수유 중단

Disrupted exclusive chestfeeding

2.1.9

독점적인 모유 수유 중단의 위험

Risk for disrupted exclusive chestfeeding

2.1.10

모유 수유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chestfeeding

2.1.11

인체 유즙 생산 불충분

Inadequate human milk production

2.1.12

인체 유즙 생산 불충분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human milk production

2.1.13

비효과적 영아 수유 역학

Ineffective infant feeding dynamics

2.1.14

비효과적 아동 식생활 역학

Ineffective child eating dynamics

2.1.15

비효과적 청소년 식생활 역학

Ineffective adolescent eating dynamics

2.1.16

삼킴 장애

Impaired swallowing



과 2. 소화 (Diges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3. 흡수 (Absorption)

현재 해당 과에 포함된 간호진단 없음


과 4. 대사 (Metabolism)

번호

간호진단명(한글)

간호진단명(영문)

2.4.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Neonatal hyperbilirubinemia

2.4.2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

Risk for neonatal hyperbilirubinemia


과 5. 수화 (Hydration)

번호

간호진단명(한글)

간호진단명(영문)

2.5.1

수분-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Risk for impaired water-electrolyte balance

2.5.2

체액 불균형의 위험

Risk for impaired fluid volume balance

2.5.3

체액 과다

Excessive fluid volume

2.5.4

체액 과다의 위험

Risk for excessive fluid volume

2.5.5

체액 부족

Inadequate fluid volume

2.5.6

체액 부족의 위험

Risk for inadequate fluid volume



[참고글]

효과적인 간호기록 작성③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NANDA Nursing Diagnoses Classification 2024-2026) 개정판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