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과 발전]난다 (NANDA)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① 구성 안내와 개정판의 주요 특징

dxplanner
2024-12-29
조회수 1775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서 독자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간호과정의 적용이 필수적입니다. NANDA 간호진단은 이러한 간호과정의 핵심 요소로서, 환자의 실제적 또는 잠재적 건강문제에 대한 임상적 판단을 표준화한 전문적 분류체계입니다.


2024-2026년 버전의 NANDA 간호진단은 13개의 영역과 47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주요 측면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분류체계는 건강 증진, 영양, 배설/교환, 활동/휴식, 지각/인지, 자아지각, 역할 관계, 성, 대처/스트레스 내성, 삶의 원리, 안전/보호, 안위, 성장/발달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어, 전인적 간호 제공을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합니다.


간호사들은 이 분류체계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하며, 간호성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의료진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며, 간호 기록의 일관성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각 영역별 간호진단들을 상세히 살펴보고, 그 특성과 적용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나름 정리해보았는데,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참고글]

효과적인 간호기록 작성③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NANDA Nursing Diagnoses Classification 2024-2026) 개정판 총정리


2024-2026 개정판의 주요 특징


1. 분류체계의 구성 

  • 13개 영역(Domain)

  • 47개 과(Class)

  • 250여 개의 간호진단


2. 각 간호진단의 구성요소 

  • 진단명

  • 정의

  • 위험요인 또는 관련요인

  • 주요 특징 또는 증상


3. 진단 유형의 분류 

  • 문제 중심 진단

  • 위험 진단

  • 건강증진 진단

  • 증후군 진단



분류체계의 구조와 활용


1. 체계적 구성 

  • 영역(Domain): 가장 큰 분류 단위

  • 과(Class): 영역 내 세부 분류

  • 간호진단: 구체적인 건강문제나 상태


2. 실무 적용 

  • 객관적 근거에 기반한 간호진단 도출

  • 표준화된 용어 사용으로 의사소통 촉진

  • 체계적인 간호과정 적용 지원


3. 교육적 활용 

  • 간호학생 교육의 표준 지침

  • 임상실무 지침 개발의 기초

  • 전문적 간호 실무의 이론적 기반




새로 추가된 간호진단 목록과 수정/삭제된 목록


새로 추가된 간호진단 목록

1. 건강 증진 영역

  • 운동 참여 향상을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exercise engagement)

  • 체중 자기 관리를 위한 준비 (Readiness for enhanced weight self-management)


2. 안전/보호 영역

  • 직업적 신체적 손상의 위험 (Risk for occupational physical injury)

  • 직업적 질병의 위험 (Risk for occupational illness)


3. 대처/스트레스 내성 영역

  • 자기 연민 부족 (Inadequate self-compassion)

  • 지나친 불안 (Excessive anxiety)

  • 지나친 죽음에 대한 불안 (Excessive death anxiety)

  • 지나친 두려움 (Excessive fear)


수정된 간호진단 목록


1. "Breastfeeding"에서 "Chestfeeding"으로 용어 변경

  • 비효과적 모유 수유 → 비효과적 모유 수유 (Ineffective chestfeeding)

  • 독점적인 모유 수유 중단 → 독점적인 모유 수유 중단 (Disrupted exclusive chestfeeding)


2. "정체성" 관련 진단 확장

  • 트랜스젠더 사회 정체성 향상을 위한 준비 추가 (Readiness for enhanced transgender social identity)


삭제된 간호진단 목록

  1. 비효과적 아기 행동 (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영아 신경 발달 조직 장애로 통합

  2. 비효과적 아기 행동의 위험 (Risk for disorganized infant behavior) - 영아 신경 발달 조직 장애의 위험으로 통합


주요 특징은 성중립적 용어의 도입과 현대 사회의 요구를 반영한 정신건강 관련 진단의 추가, 그리고 유사 진단의 통합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보다 포용적이고 현대적인 간호 실무를 반영합니다.